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시대 주요한 기술 요소가 우리의 일상에 널리 퍼지고 있습니다. 급속한 기술의 진보와 사회의 변화를 맞닥뜨릴 대학생들은 이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을까요. 연세대학교 IT경영전략학회인 ISSU(Information System SIG of Undergraduate) 학회원들이 한 학기 동안 4차 산업혁명 시대 주요한 기술 요소를 주제로 스터디한 결과물을 소개합니다. 대학생의 시선에서 바라본 기술의 현재와 고민을 살펴보기 위해 최대한 제출된 원본 그대로를 전달합니다. ‘대학생 이슈 리포트 2019’는 총 11회가 게재됩니다. [편집자주]

[대학생 이슈 리포트 2019] ①빅데이터 시대 ‘나는 누구인가’
[대학생 이슈 리포트 2019] ②자율 주행과 TOR
[대학생 이슈 리포트 2019] ③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헬스케어
[대학생 이슈 리포트 2019] ④가짜뉴스를 만드는 AI, 가짜뉴스를 잡는 AI
[대학생 이슈 리포트 2019] ⑤블록체인, 데이터의 바다 속에서 키를 잡을 수 있을까 '음원시장을 중심으로'
[대학생 이슈 리포트 2019] ⑥인공위성영상 분석과 정보우위 '경제적 가치와 국가 안전'
[대학생 이슈 리포트 2019] ⑦나는 인공지능 때문에 직장을 잃었다
[대학생 이슈 리포트 2019] ⑧진정한 무인매장이란 무엇인가
[대학생 이슈 리포트 2019] ⑨미래 성장을 위한 국내 MaaS 도입 검토의 필요성
[대학생 이슈 리포트 2019] ⑩AI 데이터 필터링 기반 타겟 광고를 경계해라 '페이스북 사례를 중심으로'
[대학생 이슈 리포트 2019] ⑪모두가 코딩을 쉽게 할 수 있는 시대

주차장에 꽉 찬 자동차들을 보면 한가지 의문이 든다. 자동차가 실제로 운행에 쓰이는 시간은 얼마나 될까?

실제 자동차 전체 수명 중 운행에 쓰이는 시간은 4%에 불과하며, 나머지 96%의 시간 동안 자동차는 주차장에 세워진 채로 있다고 한다. 이 긴 시간동안 가만히 주차장에 있을 것이 아니라 필요한 사람에게 빌려주면 수익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이 바로 MaaS(Mobility as a Service), 서비스로서의 운행 수단이다.

MaaS는 자동차를 소유의 개념으로 보지 않고 서비스로 본다. 자동차를 최종 목적지까지 가는 중에 대중교통처럼 이용할 수 있다면 자동차 구매 및 유지를 위한 큰 비용을 지출할 필요가 없다. 더불어 MaaS가 확산되어 도시 내 자동차 수가 줄어들면 부족한 주차 공간, 환경 오염, 교통 체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가능성에 가정 먼저 주목한 지역은 바로 유럽이다.

핀란드 헬싱키에서는 정부 주도 하에 ‘Whim’이라는 앱을 기반으로 2016년부터 MaaS가 상용화됐다. 이용자가 목적지를 입력하면 앱은 최적의 경로를 보여주고 어디서 어떤 교통수단을 이용해야할지 알려준다. Whim은 헬싱키 내의 버스, 트램, 택시, 렌터카, 오토바이 그리고 공공자전거까지 모든 교통 수단을 조합해 최적의 경로를 안내한다. 월 정액제로 이용할 수도 있고, 각 교통수단별 지불도 가능하다. 독일, 오스트리아 등 다른 유럽 국가들에서도 MaaS로 교통 시스템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다.


Whim 어플리케이션 정보. / 출처 구글 플레이 스토어 Whim
Whim 어플리케이션 정보. / 출처 구글 플레이 스토어 Whim
그렇다면 현재 한국의 상황은 어떠할까? 서울은 지하철, 버스 등 훌륭한 대중 교통 인프라를 가지고 있다. 타다, 쏘카와 같은 공유 자동차가 활성화되고 있다. 따릉이라는 서울시 공유 자전거 서비스가 계속해서 확대 중이고, 쿠키, 킥고잉, 지빌리티와 같은 전기 자전거 및 킥보드 서비스도 일부 지역에서 시행하며 인기를 끌고 있다. 이렇게 다양한 이동 수단을 통합해 MaaS를 도입한다면 이용자들은 더욱 더 최적화된 경로로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을 것이다.

네이버 지도 혹은 구글 지도 앱에서도 도보를 포함한 지하철과 버스로 갈 수 있는 최적 경로 탐색은 가능하다. MaaS는 도보와 대중교통에서 더 나아가 공유 자전거 및 자동차까지 고려한 최적 경로 탐색이 가능하다. 즉, 지도 앱에서 대중교통과는 따로 분리해서 각각 경로를 확인해야 하는 자전거와 자동차까지 통합한 경로를 알 수 있는 것이다. 이는 개인이 소유해서 이용해야 했던 자전거와 자동차의 공유 서비스가 실현되며 가능해졌다고 볼 수 있다.

MaaS 한눈에 보기. / 출처 쌍용자동차공식채널
MaaS 한눈에 보기. / 출처 쌍용자동차공식채널
하지만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MaaS 도입에 대한 계획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서로 다른 이해관계를 가진 이동 수단들이 통합해 서비스를 만들어내기 쉽지 않은 것은 사실이다. 갈등은 각 이동 수단이 더 큰 수익을 가져오려는 과정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과거에 대중교통 환승 제도를 도입하며 수익 분배에 대한 갈등이 있었던 것처럼, Whim과 같이 월 정액제를 채택해 각각의 모빌리티 수단마다 개별 결제가 아닌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을 통해 통합된 금액을 이용료로 결제하게 된다면 수익 분배를 어떻게 할 것인지의 문제가 있다. 또한, 경로에 이용 가능한 공유 자동차 혹은 자전거 서비스가 여러가지라면 이 중 어떤 서비스를 상위에 노출할 것인지도 문제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일정 수단으로 몰리는 상황을 방지해 각 이동 수단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도 존재한다.

논의가 쉽게 진척되지 못하고 있지만, 향후 자율주행차가 상용화될 경우 자동차가 소유 대상이 아닌 이동 수단이라는 인식이 강해지고 MaaS가 더 힘을 얻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5G 통신 기술을 통해 자율주행차를 포함한 교통 수단들이 연결되면 MaaS를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아직 초기 단계인 MaaS가 향후 해결할 수 있는 사회 문제들을 고려하면 유럽에서 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언젠가는 도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초기 단계의 MaaS만해도 기존의 대중교통 수단에 공유 자전거와 자동차를 추가함으로써 보다 더 시간이 단축된 최적 경로를 제공하면, 개인 소유의 자동차 이용 시간이 줄어들어 배기 가스 배출량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서로 다른 이해 집단들을 하나로 통합하기 위해 핀란드 Whim의 예시처럼 정부 차원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선례를 검토하고 한국 상황에 맞게 도입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대학생이슈리포트 #연세대학교 #IT경영전략학회 #ISSU #4차산업혁명 #MaaS #Mobility as a Service